REACT3 [React] State State 란? 일반적으로 컴포넌트의 내부에서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관리해야 할 때 사용 값을 저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객체로 보통 이벤트와 함께 사용 컴포넌트에서 동적인 값을 상태(state)라고 부르며, 동적인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된다 볼 수 있다. props에서 state로 이동 render() 메서드 안에 있는 this.props.date를 this.state.date로 변경 초기 this.state를 지정하는 class constructor를 추가 → 어떻게 props를 기본 constructor에 전달하는지 유의 클래스 컴포넌트는 항상 props로 기본 constructor를 호출 root.render(); 요소에서 date prop을 삭제 → root.rander(); State를 올바르.. 2024. 4. 22. [React] Component Component 란 리액트로 만들어진 앱을 이루는 최소한의 단위 MVC의 뷰를 독입적으로 구성하여 재사용을 할 수 있고, 새로운 컴포넌트를 쉽게 만들 수 있다. 컴포넌트의 이름은 항상 대문자 데이터(props)를 입력받아 View(State) 상태에 따라 DOM Node를 출력하는 함수 함수 컴포넌트와 클래스 컴포넌트 함수 컴포넌트 function Welcome(props) { return Hello, {props.name}; } 클래스 컴포넌트 class Welcome extends React.Component { render() { return Hello, {this.props.name}; } } React가 사용자 정의 컴포넌트로 작성한 엘리먼트를 발견하면 JSX 어트리뷰트와 자식을 해당 컴포넌트.. 2024. 4. 21. [React] Props란? 안녕하세요!! 오늘은 리액트에서 가장 기초 props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! props는 properties의 줄임말로 속성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, 리액트에서는 부모가 자식 컴포넌트에 단일 객체 형태로 값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props라고 합니다. 리액트에서는 보통 재사용하려는 요소를 컴포넌트로 만드는데, props는 컴포넌트의 공통기능이 아닌 세부 기능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. 그럼 props로 값을 전달하는 부분도 알아보겠습니다. props는 부모만이 자식 컴포넌트에 전달할 수 있으며 자식이 부모에게 전달할 수는 없습니다. body 컴포넌트에 props를 전달하려면 부모의 App컴포넌트에서 전달해야 합니다. props로 데이터를 여러 개 전달할 수 있습니다. 부모 컴포넌트에서 prop.. 2024. 4. 8. 이전 1 다음